<aside> 📎

업무 배경

업무 목표

업무 성과 및 의의

파이프라인 설계 시 고려 사항: 최소화된 리소스로 최대 효과

멀티모듈 환경에서의 모듈별 의존성 관리

각 서버의 패키지 환경을 고려한 빌드 파일 제작

시스템 최적화: Git Branch Strategys / Convention

</aside>

업무 내용


✈︎ 업무 배경

기존의 수동 배포 과정은 개발 생산성이 낮았고, 버전 관리 문제도 있었습니다. 관심 있는 기술, 개선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며 해결책을 제안했습니다. 서비스와 자원을 고려한 최적의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PoC를 진행했습니다. PoC의 긍정적 결과를 통해 팀의 신뢰를 얻어 프로덕션 환경에 적용했습니다. 그 결과 멀티 모듈 서버의 배포 시간을 대략 30분 단축하고 패키지 관리의 효율성도 높였습니다.

✈︎ 업무 목표

✈︎ 업무 성과 및 의의

  1. 빌드 시간을 대략 30분 단축 → 업무 효율성과 개발 생산성 증대

    총 5개 모듈: 최소 5분 ~ 최대 15분이 걸리는 시간을 최소 3분 ~ 최대 5분으로 단축하였습니다.

  2. 패키지 버전별 저장소 구축 → 서버 운영의 안전성 증대

    Maven, npm, Docker 패키지별 CI 도구와 저장소를 구축하고, 각 모듈의 패키지를 버전별로 저장소에서 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3.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 효과를 내는 파이프라인

    다양한 CI/CD 도구들을 비교하여, 유지보수성, 기존 아키텍처와의 통합성, 운영 안정성 측면에서 GCP의 Cloud Build가 적합함을 판단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파이프라인을 설계하였습니다.

    다양한 CI/CD 도구들을 비교하여, 유지보수성, 기존 아키텍처와의 통합성, 운영 안정성 측면에서 GCP의 Cloud Build가 적합함을 판단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파이프라인을 설계하였습니다.

  4. 사내 세미나 활성화

    파이프라인 구축의 필요성을 설득하고, 도커 기술과 실습 경험을 바탕으로 최적화된 운영 환경을 제안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PoC 기회를 얻어, 과정과 결과를 공유했습니다. 세미나를 통해 소통의 장을 마련했고, 사내 세미나 활성화에 기여했습니다. 이후 Effective Java, TypeScript 등 다양한 세미나를 직접 진행하고 참여하였습니다.

업무 과정